본문 바로가기

사진의 인문학

인덱스의 활용론과 부재의 조화 인덱스의 활용론과 부재의 조화 사진은 이미지와 행위의 종합, 사진은 어떤 행위에 의해 생산된 이미지일 뿐 아니라 무엇보다도 진정한 도상적인 행위 그 자체 즉 분리할 수 없는 ‘이미지 – 행위’이다. 여기서 말하는 ‘사진적인 것’은 미적, 기호학적, 역사적인 범주가 아닌, 즉 근본적으로 인식적인 범주로 이해되어야 하고 또한 신호, 시간, 공간, 실재, 주체, 존재 그리고 실행에 있어 특수한 관계를 갖는 절대적으로 특이한, 그리고 진정한 사유의 범주로 이해되어야 한다. 사진적 장치의 핵심은 자국이다. 삼차원 공간의 먼 곳에 위치한 근원으로부터 방출되거나 반사된 빛의 파장과 할로겐은 화합물의 결정에 의해 이차원적 감광지 위에 남겨지는 자국으로 나타난다. “노에마는 다양하게 반사되는 대상에 의해 방출된 빛의 파.. 더보기
사진적 행위(1) 사진적 행위 필립 뒤봐 / 이경률(1) 사진적 행위 필립 뒤봐 지음 / 이 경률 역 서론 – 사진 그 자체의 행위 사진은 하나의 이미지(기술과 행위의 생산물, 실행과 솜씨의 결과물, 종이 위의 형상)일 뿐 아니라 무엇보다도 진정한 도상적인 행위이다. * 도상 icon : 상(像). 그리스어 '에이콘'(eicon)에서 유래한 용어로 '유사물'이란 뜻. 영화에서는 어떤 영화의 속성을 강화하는 요소로서 작용하는 시각적 모티브를 말한다. 개별 영화의 차원을 넘어 유사한 속성의 모든 영화에 지속적,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이미지를 가리킨다. 예술 작품에 던질 수 있는 세 가지 질문 1. 무엇이 재현되는가 2. 어떻게 생산되는가? 3. 어떻게 지각되는가? 사진의 사실주의 담론에 대한 간략한 역사 회고 – 절대 닮음에서.. 더보기